목록분야/Programming (3)
모두의 dream

이진 기수법컴퓨터에서 10진수를 저장하는 방법은 2진수이다. 예시) 10진수 108 → 2진수 0110 1100 10진수가 1, 10, 100, 1000 이렇게 10^n에 해당하는 수가 될 때마다 자릿수가 올라갔다면, 2진수는 1(2) = 1(10), 10(2) = 2(10), 100(2) = 4(10), 1000(2) = 8(10) 이런식으로 2^n에 해당하는 수가 될 때마다 자릿수가 올라간다.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 (2로 나눈 후 나머지 값들을 이어 2진수로 변환한다.)그렇다면 소수를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무엇일까?정수는 위 방식대로 진행하면 되지만, 소수점 아래 부분은 위 방식의 반대로 진행하면 된다.2로 나눴던걸 2로 곱해주면 된다. 예시 1) 15.625정수: 위..
#includeint main(){ int num[5]; for (int i=0; i#includeint main(){ int num[5]; for (int i=0; i위 코드와 아래 코드는 동일.배열의 각 요소(순서는 index라고 함)에 접근하면서 한 개씩 입력을 받는거임.결국 정수형도 & 없이도 입력 가능. 변수 이름 자체가 배열의 첫번째 주소를 가리키고 있음.문자열은 %s를 통해 입력받게 되면 입력한 값(요소)들을 배열에 쭉 나열시킴. 연속된 메모리 주소에 쭉 할당. 동일하게 변수 이름 자체가 배열의 첫번째 주소를 가리키고 있음.(C언어에는 string 형식이 없음.)그래서 문자열을 입력받을 땐 &(앰퍼샌드)를 안써도 됨.

1. 컴파일 과정소스코드 -> 전처리기(소스파일) -> 컴파일러(어셈블리 언어) -> 어셈블러(오브젝트 코드) -> 링커 -> 합쳐진 오브젝트 코드 (1) 전처리 (Precompile)#include한 내용들이(ex. 헤더파일) 내가 작성한 파일에 포함됨. (전처리기가 역할 수행)이외에도 주석을 제거하거나, 매크로를 치환한다.(함수 -> 특정 기능을 하는 소스코드를 묶어놓은 것 -> 그 함수들을 헤더파일에 정의되어 있음 -> 그러므로 헤더파일에 가서 함수를 찾아오는거임) (2) 컴파일 (Compile)C언어(고급언어) 로 작성한 소스코드를 컴퓨터가 알아볼 수 있는 저급언어 (어셈블리어) 로 바꿔줌.일반적으로 소스코드에서 합쳐진 오브젝트 코드가 완성되는 과정까지를 통틀어서 컴파일이라고 하지만, 좀 더 자세..